ssebob의 세상 이야기

SEARCH RESAULT : 글 검색 결과 - 뉴스 (총 1개)

POST : 뉴스

피로 얼룩진 ‘구제역'

피로 얼룩진 ‘구제역 청정국’
한겨레21 | 입력 2010.05.14 18:10

[출판] 경미한 질병임에도 무역 논리에 따라 살처분되는 소·돼지, < 대혼란 > 의 대형화된 축산업 비판
1월2일 경기 포천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들어왔다. 1월30일까지 총 다섯 개 농가의 소 5956마리가 살처분됐다. 혈청형 'A'형 구제역은 81일 만인 3월23일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종식이 선언됐다. 4월8일 인천 강화군에서 구제역이 확인됐다. 이번에는 혈청형 '0'형이었다. 사흘 만에 4곳 농가가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방역 당국은 살처분 대상을 발생지로부터 반경 500m에서 3km 이내의 소·돼지로 확대했다. 반경 3km 내 소·돼지 모두를 살처분한 것은 처음이었다(2002년에는 3km 내 돼지만 살처분). 4월18일 2만9677마리가 살처분됐다. 다음날에는 경기 김포시에서 의심 신고가 들어왔고, 확진 뒤 194마리가 살처분됐다. 4월22일 충북 충주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확진되고 27일 가축 1만2620마리 살처분이 완료됐다. 28일에는 인천 강화군 돼지·한우 농장 구제역 확진 뒤 소·돼지 1118마리가 살처분됐다. 30일에는 기술연구소에서도 구제역 확진이 이루어졌다. 500m 이내 1835마리가 살처분됐다.

올해만 두 차례 구제역이 발생했다. 매번 그 해결책은 '살처분'이었다.
치사율 1%, 대부분 보름 만에 회복

2001년 영국에서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2001년 2월 북잉글랜드 헤돈온더월의 번사이드 농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뒤 1만여 개 농장에서 살상하고 태워 죽인 동물은 1천만 마리에 달했다. 무지막지한 살처분으로 농촌 생활은 피폐해졌고 자살한 농부가 60명에 달했다.

앤드루 니키포룩은 < 대혼란 > (알마 펴냄)에서 영국 정부가 이 사태에 어리석게 대처했다고 말한다. 연간 매출은 6억5300만달러에 불과한데, 살처분 비용은 200억달러 이상이었다. 돈을 쏟아부어 지키려 한 것은 '구제역 청정국'이라는 영국의 위상이었다. 우리나라도 2002년 5월 구제역 발생 뒤 한 달 반 동안 16만155마리를 살처분했고 그해 말 '구제역 청정국' 이름을 회복했다. 2009년 12월28일에는 미국이 구제역 및 우역 청정국가로 인정했고 미국 수출길이 열렸다. 불과 나흘 만인 2010년 1월2일에 구제역이 발생하고 말긴 했지만.

왜 '구제역 청정국'은 몇십만 마리의 동물을 죽이면서까지 찾아야 할 명성일까? 현대에서 가축은 산업이기 때문이다. 동물은 먹히기 위해 길러지기 때문이다. 소비자에게 깨끗하다고 인증된 상품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대량학살인 '살처분' 역시 산업논리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 논리는 어처구니없기에 잔인하다.

구제역은 "육류든 사람이든 별로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경미한 축에 속하는 바이러스"다. 구제역에 걸리면 가축은 발과 입이 몹시 아파 먹지 못하고 발을 절뚝거린다. 새끼를 밴 짐승은 유산을 하고 젖이 마른다. 고통을 안겨주지만 살생 능력은 낮다. 치사율은 1%밖에 안 된다. 대부분의 짐승은 보름 안에 건강을 회복한다. 구제역이 한번 휩쓸고 가면 고기와 우유 생산량이 15~20% 감소한다. 산업적 타격이다. 문제는 이 병원체가 지구상에서 가장 강한 포유동물 바이러스라는 점이다. 빠른 전염을 멈추기 위해 확진 뒤 빠르게 가차 없이 '살처분' 결정을 내리고 실행해야 한다. 축산제품 거래에 제약이 생기지 않도록.

축산이 산업화되기 이전 구제역 바이러스는 위험하지 않았다. 병이 돌면 소의 머리를 걸어둬 상인이나 방문객의 접근을 막고 소들을 따뜻하게 하고 부드러운 건초를 먹여 회복시켰다. 정치적·경제적·통상적 이익이 얽히고설킨 영국에서 1871년 신고의무 질병으로 정했고, 1940년대에는 잔혹한 살처분 정책을 처음 실시했다. 그 뒤 구제역이 발생한 다른 나라에서도 이와 비슷한 정책을 채택했다.

"어떤 정부도 대량 도살을 선택하지 않겠지만…"
2010년 벽두부터 시작돼 현재도 진행 중인 살처분 사태 속에, 2006년에 지어진 책의 구절은 어리둥절하다. "앞으로 구제역이 발생한다면 지구상의 어떤 정부도 대량 도살이라는 대응책을 선택하지 않겠지만…." 백신 접종은 구제역의 또 다른 해결 방법이다. 하지만 이 역시 축산업의 세계화 속에서는 구제역의 확산을 막을 수 없다. 계속되는 구절은 이렇다. "축산업계와 정부가 가축 침입자들(구제역 바이러스를 말함)에게 대주는 연료를 끊지 않는 한, 다시 말해서 과밀도 공장형 사육 시설과 살아 있는 동물의 대량 이동을 줄이고 자제하지 않는 한, 병원균이 놓은 불에 깡그리 타버리는 농촌은 앞으로 점점 더 늘어날 것이다." < 대혼란 > 은 구제역 외에 조류인플루엔자, 광우병 등 산업화된 축산업의 폐해를 실증적으로 비판한다.
구둘래 기자 anyone@hani.co.kr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top

posted at

2010. 12. 23. 23:50


CONTENTS

ssebob의 세상 이야기
BLOG main image

RSS 2.0Tattertools
공지
아카이브
최근 글 최근 댓글
카테고리 태그 구름사이트 링크